본문 바로가기
건강

음주 후 얼굴이 빨갛게 되는 이유와 주의해야 할 질병

by 스볼컵 2022. 3. 7.
반응형

술을 마시다 보면 유독 얼굴이 빨갛게 변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술자리에서 흔히 보이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을 하지만 이렇게 얼굴이 붉어지는 것은 몸이 보내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음주 후 얼굴이 빨갛게 되는 경우 주의해야 할 질병이 있습니다.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빨갛게 변한다면 음주량을 최소화하거나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이유

술을 마시고 나면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을 알코올 플러시 리액션이라고 합니다. 주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권 사람들에게서 흔한 증상입니다. 그 이유는 선천적으로 알데하이드 분해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이 몸에 들어오면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로 바뀌는데 이를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여 혈관이 확장되면서 얼굴이 붉어지는 것입니다.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 주의해야 할 질병

첫째, 암

얼굴을 붉게 만드는 아세트알데히드 물질은 2급 발암물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데하이드 분해효소가 부족한 경우 각종 암에 걸릴 위험 또한 높아집니다. 음주 후 얼굴이 빨갛게 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들의 식도암 발병률은 정상인에 비해 최대 10배, 대장암 발병 확률도 6배까지 높습니다.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빨개진다면 암에 취약함을 알리는 신호 일 수 있으므로 꼭 주의해야 합니다. 

 

 

 

둘째, 고혈압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진다면 고혈압의 위험도 높다는 신호입니다.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정도와 고혈압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 일주일에 소주 1병 이상을 마셨을 때 고혈압 위험이 커졌습니다. 일주일에 소주를 2병 이상 마시는 경우 얼굴이 붉어지는 그룹의 고혈압 발병 확률은 정상인에 비해 50% 높았습니다.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축적되면 혈류량이 늘어나고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높아지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셋째, 류머티즘 관절염

술을 마실 때 얼굴이 빨개지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류머티즘성 관절염 수치가 200% 이상 높습니다. 음주 후 얼굴 홍조와 류머티즘성 관절염 사이에 이 같은 연관성이 관찰되었습니다.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 일주일  평균 음주량이 4잔을 초과했을 때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류머티즘 인자 양성률이 238% 높았습니다. 이는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적인 변형으로 류머티즘 인자 수치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일주일에 4잔 이하의 음주 습관을 지키거나 금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