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지혈증2 콜레스테롤 무조건 낮추면 안 되는 이유 고지혈증은 이상지질혈증으로 지질대사에 이상이 생겼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혈액 속에 지방 중 중성지방이 높아도 고지혈증, 콜레스테롤이 높아도 고지혈증이라고 하기 때문에 중성지방이 높은 건지 콜레스테롤이 높은 건지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어느 쪽이 문제인 고지혈증인지 아는 게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일 때 당장 약을 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 왜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갔나 파약하는 것입니다. 많이 처방되는 콜레스테롤 약이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효소를 억제해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스타틴 계열의 약인데, 약 먹고 무조건 수치만 낮추려고 하면 세포 손상이 오히려 복구가 안 돼서 더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론 뇌출혈이나 외상 같은 비상사태가 생겨서 콜레.. 2024. 9. 24. 소혈관 질환 뇌졸중 증상과 중풍 예방법 가는 혈관에 뇌경색이 오면 본인이 뇌경색이 왔다는 걸 모르고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들의 뇌경색 중에 약 30% 정도를 차지하는 것이 소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입니다. 이런 경우 미니 뇌졸중이라는 증상을 겪게 됩니다. 뇌졸중 예방 관리 방법이 있습니다. 뇌경색이 됐든 뇌출혈이 됐든 아주 작게 소량 미니 사이즈로 그리고 아주 가는 혈관이 살짝 막혔다 뚫렸다 이러면서 모르는 사이에 뇌졸중이 왔다가는 경우들이 있는 건데, 왔다 갔다고 해서 안심할 사항이 아니라 경각심을 가지고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하지 않으면 한 달 안에 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혹시나 지금 내가 내리는 결정이 한 달 뒤에 어떤 큰 사건으로 이어지게 되고 그것이 평생의 후유증, 휠체어 또는 침대에 누워서 생활을 해야 되는 인생이.. 2024. 9.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