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을 준비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자금 조달 방법으로 크라우드펀딩이 있습니다. 돈이 없어서 창업을 못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좋은 아이디어와 실행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크라우드펀딩을 통해서 자금조달이 가능해졌습니다.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하면 리스크 없는 창업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크라우드펀딩은 용어가 생소해서 그렇지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당장 크라우드펀딩을 받지 않더라도 펀딩에 올라오는 기업과 제품들을 관찰하다 보면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사업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아직 창업 아이템도 없고 막막하기만 하다면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는 대중을 펀딩은 자금조달을 뜻해 대중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는 방식을 말합니다. 얼마 안 되는 적은 돈이지만 많은 사람들로부터 투자를 받기 때문에 새로 시작하는 창업가의 자금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크라우드펀딩 전문 사이트를 통해 일반 대중 투자자의 접근이 허용되면서 창업의 문턱은 낮아지고 자금난에 시달리는 초보 창업자에게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서포터의 크라우드펀딩
대중 투자자를 서포터라고 합니다. 이들은 초보단계의 회사를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알게 됩니다. 지금까지 세상에 없었던 신박한 아이템을 볼 수 있는 전시장이기도 합니다.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게 투자함으로써 얼리어답터로 제품을 사용해 보거나 회사의 지분을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초기단계의 기업이다 보니 제품 생산이 지연된다거나 오래가지 못하고 망하는 등의 일로 금전적인 리스크가 있을 수 있어 투자를 할 때에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창업가의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기업과 투자자가 만날 기회가 생깁니다. 아이템에 따라 수백만 원에서 십억 이상의 자금이 펀딩 되기도 합니다. 아직 검증되지 않은 제품의 경우에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제품력을 평가받을 수 있는 시험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크라우드펀딩을 한 아이템이 시장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고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 종류
크라우드펀딩은 크게 대출형, 기부형, 후원형, 투자형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에는 후원형과 투자형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첫째, 후원형
제품이나 서비스, 공연 등을 아이디어나 시제품 단계에서 투자를 받습니다. 그리고 목표한 금액 달성에 성공하게 되면 제품을 양산하고 투자자들에게 일정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돈을 지불하고 제품을 받는 것은 이커머스와 같습니다.
둘째, 투자형
아직 상장하지 않은 기업의 지분 자산을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아직 초기단계의 기업들이 대부분이어서 손해의 리스크가 비교적 큽니다. 대신 기업이 성공하게 되면 엄청난 수익률을 보이기도 합니다.
대표 크라우드 펀딩 업체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미국의 Kickstarter, Indigogo, 일본의 Makuake 등이 있습니다. 우리 회사 제품을 외국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직접 올릴 수도 있고, 올라온 제품들을 보면서 해외 트렌드를 엿볼 수도 있어 꼭 참고해 보면 좋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와디즈라는 플랫폼이 있습니다. 전체 펀딩금액이 매년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경제&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액으로 투자해서 건물주가 될 수 있는 방법 (0) | 2021.10.07 |
---|---|
40대 평범한 직장인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 (0) | 2021.10.07 |
재테크의 기본이 되는 CMA의 장단점과 개설방법 (0) | 2021.10.04 |
돈을 벌 수 있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 (0) | 2021.10.02 |
초보투자자가 알아야 할 양적완화 와 테이퍼링 및 금리인상 용어 정리 (0) | 2021.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