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전적요인2 도파민에 중독된 뇌를 되살리는 방법 사람마다 누구나 도파민 중독에 빠졌던 경험 그런 어떤 중독의 시대는 겪을 수 있습니다. 도파민에 중독된 뇌를 되살리기 위해 일지를 적어보면 확실히 다릅니다. 그냥 생각만 하고 아무것도 적지 않는 것과 실제로 매일 적어나가면서 뒤돌아보고 하는 게 굉장히 차이가 많습니다. 도파민이 균형을 잡는 게 굉장히 중요한데 사실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할 수 있습니다. 도파민 중독의 가장 큰 문제가 도파민과 도파민 수용체의 관계인데 사실 마약 중독 이런 사람들을 보면 도파민 수용체가 다 없어져 버립니다. 근데 그런 사람들도 도파민 디톡스를 통해서 6개월 12개월이 지나면 도파민 수용체가 다시 살아납니다. 실제로 MRI를 찍어보면 도파민 수용체에 표시된 부분들이 희미해질 정도로 없어지는데 나중에 중독에서 해결되면 다시 수용.. 2025. 3. 13. 최근 유방암이 급증하는 이유와 예방 방법 유방암은 에스트로겐의 노출 기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초경을 빨리 할수록, 폐경이 늦을수록, 임신과 출산을 안 할수록, 출산 후 모유수유를 안 할수록 생리를 오래 하면서 에스트로겐의 노출이 계속됩니다. 그렇게 되면 유방암의 위험성이 올라가게 됩니다. 2009년 한 해 동안 유방암이 발생한 환자 수는 약 15,000명 정도였는데 10년 뒤인 2019년에는 거의 두 배가 됐습니다. 2019년 한 해에만 유방암이 발생한 환자 수는 약 29,000명 정도로 빠른 속도로 유방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은 일명 선진국 병으로 우리나라가 잘 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잘 살게 될수록 서구화된 식습관을 가지면서 많이 발생합니다. 월경을 길게 할 경우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조금 올라가긴 하지만 연관.. 2023. 8.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