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필수 가전 공기청정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관리를 잘 못하면 냄새가 나고 더 안 좋을 수도 있습니다. 미세먼지가 심하지 않을 때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면 이산화탄소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심한 날에 창문을 열면 외부의 미세먼지가 들어와 실내 공기가 더 탁해지므로 창문과 출입문을 닫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청정기는 큰 먼지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극초미세먼지, 5대 가스를 모두 제거해주기 때문에 최적의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에도 공기청정 기능이 있는데 공기청정기와 적절하게 조합하면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에 적용된 공기 청정 기능은 대략 10평 이내의 면적을 케어할 수 있습니다. 최근엔 자동차나 유모차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미니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종류의 공기청정기가 나오면서 언제나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필터 종류와 역할
공기청정기는 일반적으로 극세 필터, 초미세먼지 필터, 탈취 필터 등이 있습니다.
첫째, 극세 필터
극세 필터는 큰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초미세먼지 필터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돕습니다.
둘째, 초미세먼지 필터
초미세먼지와 황사를 제거하는 기능과 진드기 사체, 동물 털, 꽃가루와 담배 연기 등을 제거해 줍니다. 실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도 합니다.
셋째, 탈취 필터
각 종 생활 냄새와 새집증후군, 스모그 원인 물질을 제거해줍니다.
필터 청소 주기 및 방법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을 걸러내야 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필터 관리가 중요한데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청정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청소와 교체는 꼭 필요합니다. 필터는 종류별로 청소나 교체주기가 다릅니다. 극세 필터는 2주~1개월 주기로 세척해서 관리해야 하고 초미세먼지필터와 탈취 필터는 1년 주기로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기적으로 극세 필터와 필터세이버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후 그늘에서 충분히 말려주면 필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극세 필터 세척 방법
2주~1개월에 1회 정도 세척해줍니다. 진공청소기 혹은 부드러운 솔을 이용해 먼지를 제거해 주고, 먼지가 심할 경우 중성세제를 이용해 물청소를 해줍니다. 필터를 비벼 빨거나 무리하게 물청소를 하면 훼손될 수 있으므로 조심하고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에서 1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합니다. 건조 시간이 짧으면 냄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터 세이버 세척 방법
2개월에 1회 정도 세척해줍니다.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이용해 30분 정도 담근 후 흐르는 물로 헹구고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에서 1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시킵니다.
공기청정기 냄새 관리방법
첫째, 구입 초기 냄새
공기청정기 구입 초기에는 새 제품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는데 공기 청정기 제조 및 포장 과정에서 생성된 냄새입니다. 구입 후 2~3일 정도 공기청정기를 작동할 때 환기를 자주 시켜주면 냄새가 점점 사라집니다.
둘째, 생활환경 냄새
오랜 시간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나 방향제, 음식물 등 생활환경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필터에 흡착되어 공기청정기를 가동할 때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베란다 등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2시간 이상 최대 용량으로 운전하면 냄새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렌털과 구매의 장단점
첫째, 렌털
공기청정기는 필터 교체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데 관리가 부담스러우면 렌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습니다.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기적으로 필터 청소와 교체 등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구입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구매하는 것이 좀 더 유리합니다. 렌털을 하면 보통 3년 정도 의무사용 기간이 있는데 3년간의 총 렌탈 비용보다 구매비용이 좀 더 저렴합니다. 필터 교체주기 알람 기능을 활용하면 자가 관리도 가능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면도기 종류와 날 면도기 비교 (장점과 단점) (0) | 2021.06.18 |
---|---|
건강을 위한 다양한 텀블러 세척 방법 (0) | 2021.06.17 |
청결한 주방을 위한 청소 방법과 만능 세제 만드는 방법 (0) | 2021.06.14 |
올바른 컴퓨터 자세와 키보드, 마우스 위치 및 사용법 (0) | 2021.06.08 |
효과적인 말하기, 듣기기술과 의사소통 방법 (0) | 2021.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