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드를 먹을 때 자주 먹는 양상추, 생으로도 때론 볶아서도 먹는 당근, 살짝 데쳐서 먹는 브로콜리 등 평소에 자주 먹는 다양한 과일과 채소들이 있습니다. 냉장고에 보관하는 야채와 과일이 빨리 상하거나 부패한 적이 한 번쯤 있을 것입니다. 옆에 두기만 해도 과일, 채소를 상하게 하는 냉장고 속 에틸렌 호르몬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채소나 과일을 먹으려고 냉장고에 잘 보관해 놓았는데 생각보다 빨리 무르거나 상해 버리는 경우 그리고 잎이 누렇게 변하고 쓴맛이 증가한 경우 등이 있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빨리 시들어서 당황했던 적이 한 번쯤 있을 것입니다. 좋은 과일이나 채소를 우리 몸을 위해 꾸준히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선한 상태로 먹을 수 있도록 잘 보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므로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틸렌
평소에 즐겨먹는 다양한 과일과 채소가 익을 때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호르몬이 있습니다. 덜 익은 과일이 숙성되기도 하고 반면에 노화를 촉진시키기도 하는 이 호르몬은 바로 에틸렌입니다. 덜 익은 과일이 잘 후숙 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신선도를 떨어뜨리고 쉽게 무르고 상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냉장고에 과일이나 채소를 보관할 때 꼭 기억해야 하는 것이 에틸렌 발생량이 많은 과일과 채소가 무엇인지 알고 꼭 따로 보관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에틸렌이 많이 발생되는 과일과 채소
대표적으로 에틸렌이 많이 생성되는 과일은 사과입니다. 사과의 이러한 점들을 잘 알고 있다면 가급적 다른 과일이나 채소와 함께 보관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과 이외에도 복숭아, 자두, 살구, 아보카도도 대표적인 에틸렌 발생이 많은 과일입니다.
대표적 장해
이러한 과일과 함께 과일이나 채소를 두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대표적인 장해는 잎이 시들거나 누렇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첫째, 시금치, 브로콜리
잎이 녹색이 아닌 누렇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둘째, 양상추
양상추의 경우는 반점이 생기기도 합니다.
셋째, 당근
당근은 쓴맛이 증가합니다.
넷째, 키위나 감
키위, 감 등은 에틸렌에 민감한 과일이기 때문에 노화가 촉진되어서 쉽게 부패할 수 있게 되기도 합니다.
덜 익은 작물을 익히는 효과
에틸렌은 과일의 숙성을 돕고 노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후숙 과정이 필요한 덜 익은 바나나 같은 과일을 에틸렌이 많이 발생하는 과일이나 채소와 함께 두면 덜 익은 작물을 익히는 효과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상처 난 과일
냉장고 속 과일들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서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상처가 난 과일은 에틸렌 발생이 높기 때문에 미리 골라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보일러 난방비 절약할 수 있는 방법 (0) | 2021.11.19 |
---|---|
필수업무 종사자 법 제정과 특수고용종사자 확대 (0) | 2021.11.19 |
최대 연 8.5% 초고금리 적금 누구나 가입 가능 (0) | 2021.11.17 |
공공일자리의 하는 일과 신청자격, 근로조건, 신청방법 (0) | 2021.11.16 |
등산 가서 쓰레기 되가져오면 포인트 지급 (0) | 2021.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