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본격적인 추위가 찾아올 것입니다. 무더운 여름에는 늘어난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전기요금이 걱정이고 반대로 추워진 겨울에는 보일러 난방비가 걱정됩니다. 춥다고 무턱대고 보일러나 난방제품을 사용하면 도시가스, 전기요금 등 난방비 폭탄을 맞기 쉽습니다.
이제 한파가 찾아오고 본격적인 추위가 예상되는 가운데 대부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하는 행동이 있습니다. 매우 간단하지만 또 의외로 반대로 알고 있어 오히려 무심코 하는 행동 때문에 난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폭탄의 주요 원인
첫째, 온도조절기와 구동기 및 난방계량기 고장
다양한 원인으로 난방비가 증가할 수 있지만 그중 온도조절기와 실내온도를 따라 유량 공급하는 구동기, 난방 사용량을 측정하는 난방계량기 고장 등도 주요 원인이 됩니다. 구동기나 온도조절기가 고장 나면 설정해 놓은 온도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열이 공급되기 때문에 난방비가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사용한 만큼의 사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쓴 만큼 난방비를 낼 수 있는데 난방계량기가 고장 난 경우 실제 사용량과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계량기도 수시로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보일러 전원을 끄는 것
보일러 전원을 끄는 행동 때문에 난방비가 더 나올 수 있습니다. 잠깐 외출할 때 늘 고민되는 것 중에 하나가 집에 사람이 없는데 보일러 전원을 아예 끄는 것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예 전원을 끄게 되면 다시 보일러를 가동할 때 떨어진 온도를 다시 높여야 해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예 끈 후 재가동을 하는 것보다 적정한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외출 시에는 보일러 전원을 끄지 말고 보일러의 외출 기능을 활용하여 외출모드를 눌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일러 난방비 절약할 수 있는 방법
첫째, 가습기 전원 버튼을 눌러서 실내 온도를 더 빠르고 따뜻하게 해 주기
보일러를 틀 태 가습기를 꼭 함께 트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에 사용하는 온풍기 또는 보일러를 틀게 되면 실내 공기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건조해진 공기에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면 수분을 채워주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데 도움이 되어 실내 온도가 더 빠르게 상승합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보일러를 튼 후 가습기 전원 버튼을 눌러서 실내 온도를 더 빠르고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둘째, 온수 사용 후 수도꼭지를 바로 냉수 방향으로 돌려놓기
겨울철에 세수를 하거나 손을 씻을 때 꼭 사용하게 되는 것이 온수입니다.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하는 것이 수도꼭지를 온수 방향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온수를 사용한 후 바로 냉수로 돌려놓지 않으면 이것 또한 온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수도꼭지 방향이 계속 온수 쪽으로 향하여 있으면 물을 데우기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사소한 행동이지만 알고 있다면 일상에서 난방비를 틈틈이 아낄 수 있습니다.
셋째,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방 난방 밸브 잠그기
난방 밸브를 확인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방이 2개 이상인 집은 각 방에 공급되는 밸브가 각각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방의 보일러 밸브를 잠그는 것도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만 한파 시에는 동파예방을 위해 밸브를 모두 열어서 난방수를 순환시켜야 합니다.
넷째,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보일러 청소하기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기적인 보일러 청소도 보일러 열전달을 높이고 난방기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열효율이 떨어지면 안전사고 위험도 크고 난방비도 많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 안에 제거해야 할 이물질 등을 청소해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섯째, 실내 적정온도 유지하기
바닥에 담요나 카펫을 깔아서 열손실을 막고 창문에 단열 에어캡 등을 설치해서 부착하는 것도 실내온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실내 적정온도는 18~21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오히려 실내 설정 온도가 너무 높으면 그만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일러가 더 많이 가동되기 때문에 난방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로 건강관리 하면서 지원금 지급 (0) | 2021.11.22 |
---|---|
충전 금액 10% 추가 지원되는 지자체 지역화폐카드 제도 (0) | 2021.11.20 |
필수업무 종사자 법 제정과 특수고용종사자 확대 (0) | 2021.11.19 |
냉장고 속 야채와 과일을 빠르게 상하게 하는 에틸렌 호르몬 (0) | 2021.11.18 |
최대 연 8.5% 초고금리 적금 누구나 가입 가능 (0) | 2021.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