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병원마다 차이나는 비급여 비용 동네 병원도 기관별 비교 가능

by 스볼컵 2021. 9. 29.

9월 29일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가 있습니다. 병원 갈 때 아마 가장 자주 이용하는 곳이 동네의원일 것입니다. 치료를 받기 전 의료기관별 비급여 진료비용을 미리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의료법에 근거하여 비급여 진료비용을 공개함으로 의료기관은 적정한 비급여 비용을 제공하고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에게는 합리적 선택을 돕기 위함입니다. 

진료비용-정보공개-제도
진료비용정보공개제도

살면서 누구나 한 번씩은 방문하게 되는 곳들 중 하나가 병원일 것입니다. 꼭 아프지 않더라도 필요한 예방접종을 해야 할 때 병원을 가기도 하고 물리치료 등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 할 때는 더 자주 방문하기도 합니다. 대학병원보다는 대부분 동네병원을 더 자주 가게 됩니다. 이제는 동네 병원을 직접 가지 않더라도 의료기관별 비급여 비용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비급여 진료 비용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비용입니다. 의료기관이 보유한 의료 인력, 장비, 소요시간 등을 고려해서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가격을 산정하기 때문에 병원마다 모두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급에 따라서 책정되는 비급여 진료비용은 차이가 큽니다. 백내장 수술 시 사용하는 조절성인공수정체의 경우 동네의원의 비급여 최고 금액이 병원보다 높았고 병원에 따라 동일 상품에서 6배 이상의 가격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료 등 백신 예방접종료 비용의 경우도 병원에 따라 금액의 폭이 차이가 큽니다.

비급여 항목에 대한 의료기관별 진료비용 정보 공개 제도

비급여 항목이 병원마다 다르다는 특성으로 인해 의료기관에서는 적절한 비용의 비급여를 제공하고 병원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2013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비급여 항목에 대한 의료기관별 진료비용 정보 공개 제도입니다. 2013년부터 상급종합병원 43 기관의 비급여 29 항목 가격정보 공개를 시작으로 작년 2020년에는 병원급 이상 3,915 기관 564 항목의 가격정보를 공개하였습니다. 이제부터 동네의원 61,909 기관을 포함하여 전체 의료기관 65,696 기관에서 제출한 비급여 616 항목의 진료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네의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비급여 진료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급여 진료내용 확인하는 방법

포털사이트에서 심사평가원을 검색해 홈페이지로 접속하면 됩니다. 국민의 의료부담을 덜고 안전하며 질 높은 의료 이용을 돕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라고 나오는데 여기에서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클릭하면 비급여 진료비 정보화면이 나오고 5가지로 구분해서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첫째, 비급여 정보 안내

비급여와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제도, 공개자료 활용 유의사항 등이 나옵니다.

둘째, 기관별 현황 정보

항목별 또는 의료기관별 비급여 진료 정보를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셋째, 병원 규모별 정보

특정항목의 병원 규모별 최저금액, 최고 금액, 중간 금액 및 평균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넷째, 지역별 정보

특정 항목의 17개 시도별 최저 최고 금액과 평균 및 중간 금액을 조회하여 지역별 금액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주제별 정보

평소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비급여 용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성별, 신체부위, 서류 등 항목을 주제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사평가원 모바일앱으로 조회하는 방법

구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건강정보 앱을 다운로드한 후 메인에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터치해서 기관별, 병원 규모별, 지역별 비급여 진료비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가 어려운 경우

고객센터 1644-2000번으로 문의하면 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