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사업계획서에 대한 흔한 잘못된 오해

by 스볼컵 2021. 11. 3.
반응형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려면 잘못된 오해들로 인해 막막함이 먼저 다가옵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기 전 사업 모델을 머릿속에서 생각해 볼 때 사업계획서 마인드를 떠올려봅니다. 그리고 동시에 독자가 보고 있고 최종 독자는 투자자에게 이익을 안겨줄 고객이라는 것을 상기합니다.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를  쓰려면 글재주가 좋아야 한다

아직 경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글 쓰는 일과 가깝게 지내지 않은 경우 일단 글을 쓴다는 것에 거부감부터 느껴집니다. 대부분은 초등학교 숙제로 일기 쓴 이후로 글쓰기는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입니다. 게다가 사업계획서의 독자는 돈을 투자할만한 전문가들이므로 수준 높은 글 솜씨가 당연히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사업계획서는 문학작품이 아닙니다. 투자자들이 보고 싶은 것은 사업성과 가치에 있지 심금을 울리는 감동과 여운에 있지 않습니다. 철저하게 시장의 요구나 문제를 해결해줄 데이터 기반 해결 방법입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무조건 긍정적인 느낌으로 작성한다

애초에 세상에 완벽한 사업은 없습니다. 어떤 사업이든 처음에는 작은 아이디어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성장하는 것입니다. 사업모델에 문제가 있다면 숨기거나 무리하게 사실과 다르게 쓰려고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경험 많은 투자자일수록 완벽한 사업모델은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 있습니다. 이들의 차가운 눈높이에 맞춰야 합니다. 온갖 미사여구나 대단한 표현을 고민하는 시간에 현실성 있는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낫습니다. 

사업계획서는 복잡하다

잘 작성된 사업계획서는 절대로 복잡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쉽고 간결합니다.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들어가서 회사 이름만 검색하면 삼성전자 같은 공룡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사업계획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사업의 내용을 클릭하면 산업의 현황부터 시장 내용, 사업 전반적인 부분까지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상장사의 사업계획서는 어려우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이들의 독자는 일반인이기 때문입니다. 투자자가 전문가 일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제품만 좋으면 된다

객관성은 수요나 공급 조사에 의해 숫자로 나타날 수도 있고 다양한 고객의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도 있습니다. 너무나 간단하고 당연합니다. 하지만 더 많은 경우 경쟁사와 비교해서 더 좋은 기술, 특허, 디자인 등에 매몰됩니다 그들만의 경쟁을 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외면하는 오버스펙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그러므로 제품이 좋다는 표현의 기준은 철저하게 고객의 입장에서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그 내용이 사업계획서에도 충분히 표현되어야 투자자들도 안심하고 투자를 할 것입니다. 

 

 

 

사업계획서의 용도는 투자를 받는데만 있다.

사업계획서는 투자를 받는데만 이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막상 실제로는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각각의 용도에 맞게 조금씩 특징이 다르므로 특징을 강조해 주면 좋습니다. 

첫째, 은행 대출용

은행에서 대출받는 경우가 있는데 모든 은행에서 사업계획서를 공식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현재 재무 자료와 미래예측 자료 등을 포함해서 제공해준다면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 팀 빌딩용

창업의 최대 고민 중에 하나는 재무 상황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팀원들에게 줄 수 있는 것은 확실한 월급보다는 사업모델의 가치나 비전일 것입니다.

셋째, 내부 공유용

창업을 시작하면 갈길이 멀습니다. 제한된 자원과 시간을 전략적으로 분배하기 위해서는 회사에 방향성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방향이 모든 구성원과 공유가 돼야 됩니다. 중간중간에 변경되는 내용은 수정해 가면서 구성원이 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넷째, 정부지원사업

사업자등록도 하지 않은 예비 창업자들에게 수천만 원에서 그 이상으로 정부에서 창업자금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예비창업패키지로 지원된 규모는 갈수록 커지므로 요건에 되는 경우 도전을 안 하면 손해일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사업은 그 취지에 맞게 정부에서 원하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다섯째, 전문 투자자

엔젤 투자자와 벤처캐피털 회사가 있는데 이들은 원리금 변제에만 관심 있는 은행과는 다릅니다. 고수익에 관심이 많습니다. 시장에 과거 현재 미래의 흐름, 창업자의 경력, 회사의 과거와 현재, 예측한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실행 가능성, 독창성, 경영의 전문성 등이 주로 평가가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