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은행 효능과 은행 섭취 시 주의할 점

by 스볼컵 2023. 10. 16.
반응형

은행나무는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썩어서 악취가 납니다. 은행은 식용으로 백숙에 넣어서 먹기도 하고 간식으로 혹은 술안주로 구워서 먹으면 별미입니다. 그런데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은행이 맛있고 몸에 좋은 성분이 있더라도 무작정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됩니다.  

은행은 열매처럼 보이지만 씨앗의 일부분이 변형된 종자에 해당되는데, 은행 종자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은행나무가 자손을 퍼트리기 위해서는 종자, 즉 씨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천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식물들은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데 은행나무는 나쁜 냄새와 독성을 보호수단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은행 씨앗은 세 개의 껍질 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장 바깥이 물렁물렁하고 과육처럼 보이는 겉껍질로 여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게 하는 은행산과 빌로볼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안쪽으로 희고 단단한 중간껍질이 있고, 중간껍질을 깨뜨리면 얇은 갈색을 띠는 속껍질이 보입니다. 속껍질까지 벗겨내면 식용으로 먹는 연한 노란색의 조직이 나오는데 이 부분을 배젖이라고 하고,  배젖을 갈라 보면 V자 모양의 씨눈이 있습니다. 보통 시중에서 판매하는 은행은 속껍질이 붙어있는 상태의 은행을 안 깐 은행이라고 하고, 배젖 상태의 은행을 깐 은행이라고 해서 두 종류 중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과 은행잎 효능

첫째, 천식과 기침

폐가 허약해서 오랫동안 기침을 하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 은행 속의 펙틴, 히스티딘 같은 성분들이 면역력을 높여주면서 진해거담 작용이 있습니다. 

둘째, 야뇨증과 요실금

이불에 쉬 싸는 아이들한테 방광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은행 열매를 볶아 주기도 했습니다. 은행은 방광의 수축이완 작용을 조절해서 야뇨증, 요실금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습니다.

셋째, 대하증

여성의 경우 분비물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대하증이 있을 때 도움이 됩니다. 은행을 먹으면 특유의 쌉싸름하면서 떫은맛이 있습니다. 이것이 생식기능의 습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넷째, 혈액순환

은행잎에서 추출한 은행잎 추출물은 혈액순환 개선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징코민의 징코는 은행의 이름입니다. 은행잎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해서 혈행개선이나 뇌혈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은행 속의 징코라이드 성분은 콜레스테롤과 혈전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수술하기 전에는 수술 후에 혹시나 출혈이 멎지 않을 수도 있을 것에 대비를 해서 은행잎 추출물로 만들어진 약이나 영양제는 복용을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섯째, 뼈 관리

은행잎에는 레시틴 성분도 풍부합니다. 칼슘 흡수를 돕기 때문에 골밀도가 떨어지는 중년 이후에 뼈 관리에도 좋습니다.  

 

 

 

은행섭취 시 주의 점

첫째, 독성 주의 

은행종자는 메티오피리독신이라고 하는 독성물질이 있습니다. 이걸 먹게 되면 체내에서 비타민B6대사를 방해해서 위장관과 신경계에서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구토, 설사, 간질발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독성 물질은 겉껍질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안에 갈색으로 된 속껍질에도 있기 때문에 은행을 먹을 때는 반드시 껍질 제거 후 섭취해야 합니다. 생으로 섭취했을 때보다 열을 가하면 약간 줄어들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은행독은 열에 강합니다. 그래서 굽거나 삶아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둘째, 손질 주의

은행이 독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먹을 때 주의를 하긴 하지만 손질하는 과정에서도 사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은행은 음식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접촉에 의해서도 눈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 독성뿐만 아니라 전신부종이나 심한 관절염을 보이기도 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은행을 손질할 때는 반드시 고무장갑을 끼고 해야 하고, 길바닥에 떨어진 은행은 만지지 말고 줍지 말아야 합니다.

셋째, 섭취량

껍질을 깐 배젖 상태로 먹더라도 너무 많이 먹으면 병원에 갈 수 있기 때문에 식약처에서도 섭취량을 정하고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하루 10알 미만, 어린이는 2~3알 이내로 섭취량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넷째, 매일 장복하지 않기

사람마다 정확히 얼마나 먹었을 때 독성 반응이 나타나는지 그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 임산부, 노약자는 되도록 은행을 먹지 않는 것이 좋고, 건강한 성인이라도 하루 10알을 매일 꾸준히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은행잎차

은행잎에는 은행의 독성물질인 메티오피리독신이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은행잎에도 접촉성 피부염과 알레르기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은행산이 함유되어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옻을 만지면 옻을 탈 수 있는 것처럼 은행잎도 독성까지는 아니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은행잎 성분을 추출, 정제해서 만든 제품들은 크게 문제가 안 되지만 집에서 은행잎차를 끓여 마시는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나우푸드 징코 빌로바 120mg 베지 캡슐 글루텐 프리 비건 200정, 1개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