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테크74 나에게 맞는 CMA를 알기 위한 종류와 구조 및 금리 금리가 가장 높은 CMA를 택해야겠지만 CMA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 나에게 맞는 CMA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금리로 보면 RP형, MMF형, MMW형, 발행어음형 순으로 높아집니다. 사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CMA에 예치해 두는 돈이 생각보다 클 수 있다면 금리가 높은 쪽으로 개설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예금과 다른 CMA 구조 기존에 은행거래를 했을 때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는데 은행 입장에서는 예금은 2%로 해서 받고 이것을 대출 5%를 누군가에게 주면 3%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은행에 돈을 맡기면 그 돈의 모든 결정을 은행이 하는 것이지만 증권사 CMA에 돈을 넣게 되면 이것은 증권사를 통해서 다른 곳에 투자가 됐다가 다시 거쳐서 나에게 들어오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 2021. 12. 6. 리츠의 개념과 장단점 및 선호고객 유형 주로 듣는 리츠에 관한 말들은 커피 한 잔으로 건물주가 되는 방법 그리고 벽돌 한 장을 만원으로 살 수 있는 리츠, 웬만한 배당주보다 배당을 많이 주는 리츠 주로 이런 것들을 듣습니다. 리츠는 겉으로만 보면 너무 쉽지만 파고들수록 어려운 내용이 끝도 없는 대표적인 종목입니다. 리츠란 부동산 투자회사법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입니다. 리츠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큰 개념을 아주 축소시켜서 예를 들어 알아보고자 합니다. 리츠의 개념 살고 있는 바로 옆에 상가 하나가 매물로 나왔습니다. 이 상가에는 떡볶이 가게가 장사를 하고 있고 매우 잘되고 있습니다. 이 상가가 1억에 나왔는데 상가주인이 받는.. 2021. 12. 6. 연말정산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대략적인 정의 알아보기 연말정산이라고 하면 누구나 하는 것이니까 다 알 것 같지만 막상 알려고 하면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연말정산은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세청에서 1년 동안 간이세액 표에 따라 징수한 근로소득세를 매년 끝나고 나서 다시 따져보는 절차입니다. 소득세 돈을 벌면 국가에 소득세라는 것을 냅니다. 내가 돈을 벌었기 때문에 내는 세금인 것입니다. 그래서 소득세율 표라는 것이 있습니다. 1,200만 원 이하이면 소득세를 6% 내고 연봉이 4,600만 원까지는 15% 내고 이런 식으로 적혀 있습니다. 낸 적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다 내고 있습니다. 소득세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연봉이 얼마니까 떼 가는 개념이 아니라 비용을 많이 쓴 사람에게는 덜 떼야 될 것입.. 2021. 12. 5. 연금저축펀드가 꼭 있어야 되는 이유와 준비하는 방법 연금이 쌓이고 있으면 뿌듯한 느낌이 듭니다. 은행의 대출 잔고가 조금씩 줄어드는 것처럼 뿌듯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증권사에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고 매달 34만 원을 넣든 한 번에 400만 원을 넣든 400만 원을 1년 안에 채웁니다. 1년이 지나서 연말정산을 할 때 400만 원을 다 채웠다면 66만 원을 연봉이 조금 높으면 52만 8,000원을 돌려받습니다. 세액공제를 받으며 돈을 계속 붓다 보면 55세가 지나있으면 큰돈이 되어있을 것이고 55세가 지난 특정 시점에 연금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면 10년 이상으로 수령 신청을 해서 연금을 타 쓰면 됩니다. 조기 사망하게 되면 자산들은 금융자산으로 상속도 됩니다. 연금 3층 보장체계 노후에 연금의 형태로 쓸 수 있는 재원은 총 3가지로.. 2021. 12. 5.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