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후부터는 피부표면 지질이 과산화되면서 2-노네날이라는 냄새성분이 생기는데 이것이 체취의 노화를 부르는 유력한 원인이 됩니다. 이를 없애기 위해 몸 밖은 귀뒤, 목뒤, 두피, 겨드랑이 부분을 깨끗이 씻고, 몸 안 과산화지질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깻잎 같은 허브류, 호두 같은 신선한 견과류, 구기자 같은 베리류를 섭취하면 좋습니다.
사람마다 고유한 체취가 있고, 이런 체취는 인종이나 식습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마늘을 많이 먹는 한국 사람과 고기를 주로 먹는 서양 사람에게서 나는 체취가 다릅니다. 노인 냄새라는 것이 꼭 나쁜 냄새는 아닙니다.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나눠 겨드랑이 냄새를 수집한 결과, 노년층의 체취는 오히려 홀아비 냄새라고 하는 중년남성 체취보다 덜 강렬하고 불쾌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그래서 노인냄새라고 해서 너무 위축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나이가 들면서 젊었을 때보다 없던 냄새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인체 냄새
인체 냄새는 탄화수소, 알코올, 산, 케톤, 알데하이드 같은 다양한 휘발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0세 이하와 40세 이상으로 비교한 결과, 수치가 서로 비슷하지만 2- 노네날이라는 성분이 40세 이하에서는 수치가 0이었는데 40대 이후에는 69로 검출되었습니다. 그래서 연령 증가에 따라 2-노네랄이라는 냄새 성분이 새롭게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결과를 보면, 피부에 피지선이 있고 여기에서 기름 성분이 나옵니다. 이 기름 지방 성분 중에서 과산화지질, 지질이 산화, 산패된 양을 측정했더니 이 역시 노화에 따라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40세 이하와 40세 이상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미미한 것이 아니라 과산화지질이 유의미하게 많아집니다.
첫째, 체취의 2-노네랄의 양과 피부표면 과산화질 양
결정적으로 체취의 2-노네랄의 양과 피부표면 과산화질 양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40세 이후에는 특히 오메가 7 불포화지방산이 산화된 과산화 지질이 증가하고, 이것이 분해될 때 2-노네날이 생성되고 이것 때문에 노인냄새라고 하는 냄새성분이 생기는 것입니다.
둘째, 노인 냄새 이유
유분이 가장 많이 생성되는 시기는 청소년기이지만 그때는 피부가 촉촉하고 수분도 많기 때문에 지방이 잘 산화되지 않는데 나이가 들면 유분의 양이 젊을 때만큼 많이 나오지 않아도 지방의 산화가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노네날이 축적되면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노인 냄새 없애는 방법
가장 중요한 것이 잘 씻는 것인데 몸 안과 몸 밖을 잘 씻어줘야 합니다. 몸 밖은 샤워할 때 씻습니다. 샤워를 자주 하는 것은 오히려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한 번 정도가 가장 적당한데 한 번을 씻더라도 체취가 가장 많이 퍼지는 부위를 꼼꼼히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일 중요한 곳이 귀 뒤입니다. 머리를 감고, 팔다리 몸통을 잘 씻어도 귀 뒤는 놓치기 쉬운 부위기도 합니다. 그다음 귀 뒤 주변으로 해서 목 뒤, 두피, 겨드랑이 부위를 잘 씻어주면 냄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지방의 산화를 막는데 도움 되는 항산화 음식
몸 밖을 잘 씻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몸속을 잘 씻는 것도 중요합니다. 냄새 원인이 몸속에서부터 올라오는 과산화지질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체내에서 지질이 과산화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고, 쌓인 것은 잘 씻겨져 나가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과산화지질을 차단하는 대표적인 음식이 항산화 식품입니다. 많은 몸의 부분들이 매끄럽게 유지되려면 지방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런데 활성산소의 공격을 받으면서 지방이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활성산소를 중화해서 산화적인 스트레스로부터 몸을 보호하려 먹는 것이 항산화 식품입니다.
첫째, 깻잎
깻잎은 들깻잎인데 들깨에는 산패에 굉장히 약한 기름이 많이 들어있는 만큼 깻잎에는 로즈마리산 같은 산화를 차단하는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고기 같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경우 지질의 산화를 막이 위해서 깻잎을 같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깻잎 특유의 향이 싫다면 향긋한 냄새가 나는 허브차 중에서 골라 먹어도 도움이 됩니다. 로즈메리, 페퍼민트, 루이보스, 라벤더 모두 카페인은 없으면서 항산화 작용이 강력한 허브차입니다.
둘째, 호두
기름은 기름으로 씻는 말이 있는데 항산화 작용이 풍부하면서 과산화지질을 잘 씻어내는 착한 기름이 호두에 풍부합니다. 다만 호두 속의 기름도 껍질을 까고 공기와 접촉하는 순간부터 산화되면서 신선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통호두를 직접 까서 먹는 것이 호두를 먹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혹시 깐 호두나 갈아져 있는 호두를 먹었을 때 쩐내가 난다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쩐내가 나는 기름 자체가 이미 산패한 기름, 산화된 기름이기 때문입니다. 통호두를 구하기 어려운 계절일 때는 호두 외에 신선한 다른 견과류로 대체해도 좋습니다.
셋째, 구기자
몸에서 지질의 산화와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장기가 간 입니다. 구기자는 간의 해독작용을 돕고 지질의 산패를 막는 효능이 있어서 지방간을 다스리는데도 도움이 되고, 예전부터 구기자를 항노화 약재로 쓰여왔습니다. 피부를 젊게 하고 눈의 노화를 막고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체취의 노화를 막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노인냄새를 없애기 위한 생활 습관
첫째, 충분한 수분 섭취
특히 입이 잘 마르는 경우, 자고 일어나서 입안이 바짝 말라 있다면 신경 써서 물을 잘 챙겨 마셔야 합니다. 체내에 수분이 줄어들어도 과산화지질이 쉽게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둘째, 환기와 세탁
환기와 세탁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몸은 샤워를 해서 씻어 주지만 밤새 누워있는 침구, 방안 옷장에도 냄새 성분이 배게 됩니다. 그래서 매일 꼭 환기를 해야 하고, 침구는 매일 세탁은 못하지만 2~3주 주기가 적당하고 한 달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세탁 기능뿐만 아니라 건조기까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침구나 옷을 세탁하고 나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햇빛에 쪼여 주면 더 좋습니다. 햇빛을 쪼이면 살균 효과까지 있어서 세균으로 인한 냄새가 줄어드는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국내산 유기농 건구기자 말린 구기자 친환경 300g 햇 2023년산 생산자조합직판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면을 건강 면으로 먹는 방법 (0) | 2024.06.27 |
---|---|
신장을 망가뜨리는 잘못된 식습관 (0) | 2024.06.26 |
조리 별 용도에 맞는 식용유 선택 방법 (0) | 2024.06.24 |
혀를 보면 알 수 있는 몸의 건강상태 (1) | 2024.06.21 |
이석증과 어지럼증에 나쁜 음식과 좋은 음식 (0) | 2024.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