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생강 효능과 부작용 및 섭취 시 주의 사항

by 스볼컵 2022. 12. 21.
반응형

향긋한 향과 매운맛의 생강은 양념이나 생강차 등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생강에 풍부한 진저롤과 쇼가올 그리고 여러 효소들은 면역력 강화뿐만 아니라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생강도 잘 못 먹을 경우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생강을 손질하다 보면 살짝 썩거나 곰팡이가 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만 도려내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런 생강은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썩거나 곰팡이가 핀 생강의 위험성

썩거나 곰팡이가 핀 생강에는 사프롤과 아플라톡신이라는 위험한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첫째, 사프롤 성분

생강이 썩으면 마약류로 분류되는 사프롤이라는 성분이 생성됩니다. 이 성분은 식약청에서 마약류의 원료물질로 지정할 만큼 위험한 독성 성분이고, 발암물질 2B군으로 분류됩니다. 사프롤 성분은 물에 끓이고 햇볕에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면 함량이 조금 줄어들지만 완벽하게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둘째, 아플라톡신 함유

그리고 썩은 생강에 잘 생기는 곰팡이에는 아플라톡신이라는 1군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플라톡신은 발암물질 중 하나로 간세포를 파괴시켜 간암을 유발하는 성분입니다. 이 성분은 높은 열에도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제거가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생강을 이용해서 생강차를 끓이면 발암물질을 그대로 섭취하게 됩니다. 썩거나 곰팡이 핀 부분만 제거한다고 해도 곰팡이 독소는 생강의 섬유 조직을 타고 골고루 퍼지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합니다. 

 

 

 

생강 섭취 시 주의사항

위가 약하거나 당뇨병 및 항응고제를 섭취할 경우 이외에도 열감기, 치질 환자도 생강 섭취는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째, 위가 약한 경우

적정량의 생강 섭취는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지만 생강을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위가 약하거나 위장 질환이 있는 경우 생강차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생강은 소화를 돕는 다이스타제, 프로테아제, 트립신 등 다양한 효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력 증진에 도움을 주지만 많이 먹을 경우 위 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위가 약한 경우 생강차를 많이 마시면 이런 성분들이 위를 자극해 속 쓰림, 위통,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생강차를 마시고 싶을 경우 매운맛이 나지 않을 정도로 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당뇨병이 있는 경우

당뇨로 인해 당뇨치료제를 복용하는 경우 생강차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생강에 풍부한 진저롤 성분은 인슐린의 분비를 원활하게 도와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성분은 탄수화물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인슐린 김수성을 높입니다. 하지만 당뇨치료제를 복용하는 경우 생강차를 많이 마시면 혈당 수치를 이중으로 떨어뜨릴 수 있어 저혈당의 위험도 있습니다. 당뇨를 비롯한 처방약을 복용 중일 경우 주치의와 상담 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항응고제를 섭취하는 경우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경우 생강 섭취는 피해야 합니다. 생강은 혈액을 묽게 하고 혈소판의 응집을 막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을 복용할 경우 생강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출혈이 잘 멈추지 않는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액응고를 낮추는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펜프로쿠몬 등을 복용하고 있을 경우 생강 섭취를 주의해야 합니다. 수술을 앞두고 있는 경우 최소 2주 정도는 생강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산 봉동 생강진액 (가당 또는 무가당) 1L x 2병 생강청 생강차 시앙진액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