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장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4가지 음식

by 스볼컵 2022. 2. 9.
반응형

심혈관 질환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병합니다. 혈액순화의 핵심 역할을 하는 심장혈관에 이상이 생기면 심근경색증, 고혈압, 협심증 등이 발병해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합니다.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로운 음식을 피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합니다. 

트랜스지방

과자와 같은 음식을 고소하고 바삭하게 만드는 트랜스 지방은 소량만 섭취해도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트랜스지방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은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과자, 케이크, 튀김, 도넛 등에 들어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나쁜 콜레스테롤 LDL은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 HDL은 낮춥니다. 또한 체내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혈관기능을 망가뜨리고 심장 세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서 협심증과 같은 심혈관질환을 유발합니다. 1일 트랜스지방 섭취 권고량은 2g입니다. 하루 5g의 트랜스지방을 섭취하면 심장병 발병률이 23% 정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트랜스지방을 많이 섭취해서 적혈구 막에서 트랜스지방이 발견된 사람의 경우 급사 위험이 일반인보다 47%나 높다고 합니다. 권고량을 떠나서 되도록이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정제된 곡물

정제된 곡물은 빵, 과자, 초콜릿과 같은 가공식품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정제된 곡물은 거의 모든 섬유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제거되다 보니 영양적인 측면으로도 매우 부실하게 됩니다. 정제된 곡물은 빨리 소화되고 혈당지수를 높입니다. 즉, 식후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또한 정제된 곡물이 든 식품을 많이 먹으면 혈중 중성지방이 올라가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져 심장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가공육

가공육의 경우 살코기가 아닌 지방 부위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고 보존을 위해 나트륨도 많이 사용하므로 심장 혈관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나트륨의 경우 가공육은 가공하지 않은 적색육류보다 무려 4배나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가공육에 보존제로서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고기 고유의 색을 유지시키지만 육류에 존재하는 아민과 결합했을 때 발암 촉진물질인 니트로사민을 생성합니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높으면 혈류량이 증가, 혈압이 상승하여 고혈압의 위험이 높아지고 심장질환, 뇌졸중 위험까지 높아집니다. 가공육의 경우 일주일에 먹는 양이 총 50g을 넘기지 말아야 합니다.  

 

 

 

패스트푸드

패스트푸드에는 콜레스테롤과 심장병의 위험을 높이는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그리고 염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안 좋은 성분들이 많이 들어 있어 먹지 않거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패스트푸드를 주 2회 이상 섭취하면 관상동맥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56% 높아지고 2형 당뇨병 발병률 또한 상대적으로 27% 높은 수치를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