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혈액순환이 잘 안 되면 전신 혈액순환에도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다리 쪽 순환이 안 되면서 나타나는 신호를 알아치라고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혈액순환이 안 되는 신호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리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 습관과 다리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심장은 가슴에 있는데 몸에는 이 심장 말고 또 다른 심장이 종아리에 있습니다. 종아리를 제2의 심장이라고 합니다. 혈액이 어떻게 순환하는지를 알면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나온 피가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갔다가 다시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와야 하는데, 정맥에는 심장과 같은 펌프 역할을 해주는 장기가 없어서 쭉쭉 뻗어나가는 힘이 약합니다. 특히 다리에서 위로 올라가는 순환은 중력이 밑에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에 더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가장 취약한 부분이 다리일 수밖에 없습니다. 다리 혈액순환이 잘 안 되면 전신 혈액순환에도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다리 쪽 순환이 안 되면서 나타나는 신호를 알아치라고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다리 혈액순환이 안 될 때 나타나는 증상
첫째, 다리 쥐
다리에 쥐가 난다는 것은 다리 근육에 경련이 나는 것입니다. 혈액 순환이 떨어져서 근육에 산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면서 경련이 발생하게 됩니다. 잘 때 쥐가 잘 나는 것도 가만히 누워있는 동안에는 제2의 심장인 종아리 근육이 수축, 이완하는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둘째, 다리가 차갑고 시린 냉증
한여름인데도 발이 시리고 다리가 차가워서 고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체열을 측정해 보면 상체는 뜨거운데 하체는 온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는 따뜻한 물입니다. 발끝 말초혈관까지 따뜻한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못하면 다른 부위에 비해서 차가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가슴 위로는 열이 많고 다리가 차가운 불균형 상태를 상열하한증이라고 합니다.
셋째, 무거운 다리
다리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뻐근하고 자려고 누웠는데 다리가 너무 저리고 아파서 잠을 잘 못 자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리 혈액순환이 안 되는 것 같아서 만보 걷기를 시작했는데, 운동 후 다리가 더 무겁고 저릴 수 있습니다. 이유는 운동을 할 때 종아리 근육, 다리 쪽으로 혈액을 많이 보내 줍니다. 그럼 이 혈액이 다시 올라와야 하는데 정맥순환이 잘 안 되다 보니까 올라가는 순환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럴 때는 무작정 오래 걷는 것보다는 종아리 근육을 건강하게 하는 운동과 마사지가 따로 필요합니다.
넷째, 다리 부종
다리가 무거운 증상과 같이 잘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아침에 신발을 신을 때는 딱 맞았는데 저녁에 신발을 신으려고 보면 발이 부어서 신발에 발이 잘 안 들어가거나 혹은 저녁에 양말을 벗었는데 양말 자국이 너무 진하게 남아있는 채로 이게 잘 돌아와지 않는 것은 다리가 부어있기 때문입니다. 심한 경우 발목 주변을 손가락으로 눌렀는데 함몰이 되었다가 손을 떼면 금방 돌아와야 되는데, 움푹 파인 모양이 그냥 그대로 남아있을 수도 있습니다. 부종은 콩팥이 나빠도 생길 수 있는데 보통 콩팥 기능 저하나 다른 이유로 몸이 붓게 되면 얼굴이나 손 발도 같이 붓는 경우가 많고, 심장이나 다리 혈액순환의 문제가 안 돼서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주로 하지부종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섯째, 발뒤꿈치 각질
여름에는 양말을 신지 않을 때가 많은데 발뒤꿈치 피부가 유난히 거칠고 갈라지고 두꺼운 각질이 하얗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래 피부에는 피부를 보호하는 각질층이 있습니다. 그런데 오래된 각질은 떨어져 나가고 다시 피부 재생이 이루어지는 사이클이 원활해야 하는데, 다리 쪽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피부 재생 사이클도 느려지면서 특히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고 몸무게 부하를 많이 받는 발뒤꿈치 부분에 각질층이 두껍게 쌓이게 됩니다.
여섯째, 멍
넘어지거나 부딪힌 기억도 없는데 종종 다리에 멍이 들어 있어서 놀랄 때가 있는데, 이런 경우가 자주 있다면 이것은 혈관이 약해서 어디에 살짝 닿았는데 터지면서 멍이 드는 것입니다. 그만큼 정맥이 약해져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혈액순환도 쉽게 정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일곱째, 다리 힘
다리에 힘이 갑자기 빠지는 증상은 뇌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고,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하는 추간판 탈출 증이 생겼을 경우 신경이나 혈관 등이 눌리면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통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예전 같지 않게 다리에 힘이 탁 풀리는 그런 특징들이 있습니다. 혈류 공급이 잘 되지 않다 보니까 근육이 수축, 이완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순간적으로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리 순환 방해하는 습관
첫째, 오래 앉아있는 습관
앉은 자세로 한 시간이 지났을 때 체중과 중력에 의해서 혈관이 압박되면서 혈액순환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3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상체 혈관 기능 역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하체뿐만 아니라 상체 순환에도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더라도 한 시간에 한 번은 일어나서 스트레칭을 하거나 조금 걸어서 하체에 몰린 혈액이 다시 위쪽으로 갈 수 있게 제2의 심장이 움직여 줘야 합니다.
둘째, 다리 꼬고 앉는 습관
다리를 꼬게 되면 좌우 골반이 틀어지고, 혈관이 눌리면서 혈액순환이 막히기 때문에 바른 자세로 앉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리를 꼬고 앉아야 더 편하고 안정감이 든다면 이미 골반이 틀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그렇게 느낄 수가 있어서 이런 경우라면 틀어진 골반과 척추를 바로 잡아주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리 혈액순환 좋게 하는 습관
첫째, 고관절을 잘 풀어주는 것
앉아있으면 고관절이 경첩처럼 접히기 때문에 혈액순화이 정체하기 쉽습니다. 매일 고관절을 스트레칭하고 운동시켜서 혈액이 막힘없이 흐르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닥에 앉아 발바닥끼리 맞닫게 한 후 15초 정도 유지하는 동작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둘째, 종아리 근육
적당한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힘을 키우고 동시에 종아리가 딱딱하지 않게 유연성을 회복시켜 주는 것도 혈액순환에는 매우 중요합니다. 발뒤꿈치 들기 운동은 종아리 근육의 힘을 길러주는 운동입니다. 종아리 근육은 겉으로 보이는 비복근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속근육이 가자미근이라고 있습니다. 이 가자미근 운동도 필요합니다. 가자미근 운동을 해주면 혈당을 조절하는데도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비복근을 강화시키는 발뒤꿈치 운동과 가자미근을 강화시키는 가자미근 운동을 같이 병행하면 견고한 종아리 근육을 만드는데 시너지 효과가 납니다. 가자미근 운동은 의자에 앉은 채로 발뒤꿈치를 한 세트당 20회 정도 빠르게 들었다 내려줍니다. 그리고 종아리 근육이 유연해야 혈액을 잘 짜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스트레칭이나 지압법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뉴트리디데이 센시피아, 30정, 1개 - 기타영양제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345개를 가진 뉴트리디데이 센시피아, 30정,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기타영양제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 효능과 땅콩 먹을 때 주의할 사항 (4) | 2024.09.12 |
---|---|
혈액과 신장 건강 지키는 밤 섭취 방법 (6) | 2024.09.11 |
내장 지방과 숙변 해결할 수 있는 음식 (2) | 2024.09.09 |
나이들수록 지치지 않는 에너지 건강 관리법 (4) | 2024.09.07 |
익혀 먹으면 좋은 채소와 조리 방법 (8) | 2024.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