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식사는 잠자던 몸과 뇌를 깨우고 하루의 에너지를 공급해 줍니다. 하지만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몸에 오히려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아침에 액상과당을 먹으면 염증 유발과 지방간, 신장 결석 등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액상과당 함유 음식
아침에 먹는 샐러드는 채소와 과일에 함유된 비타민과 각종 항산화 성분들로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향긋하고 달콤한 맛을 위해 샐러드드레싱을 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채소 샐러드 한 접시 70g는 15~20kcal에 불과하지만 샐러드드레싱이 포함된 경우 500kcal를 넘는 제품도 많습니다. 과도한 칼로리는 비만을 비롯해 고혈압과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보다 더 무서운 것은 액상과당의 함유량입니다. 케첩이나 마요네즈, 상당수의 샐러드드레싱에는 달콤한 맛을 내기 위한 액상과당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액상과당은 샐러드드레싱뿐만 아니라 과일주스, 요거트 등 아침에 챙겨 먹는 음식에도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액상과당은 옥수수 전분에 효소 처리하여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리해 놓은 시럽 형태의 감미료로 천연 당분에 비해 더욱 해롭습니다. 액상과당은 천연과당보다 혈액 속 단백질과 엉겨 붙는 작용이 더욱 빠르게 일어납니다. 엉겨 붙은 최종당화산물은 혈액 속 염증 물질을 만들어 심혈관과 뇌혈관 등 온몸의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자주 먹는 이런 음식들로 모르는 사이에 액상과당을 먹는 경우가 많을 수 있으므로 성분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음식을 먹느냐보다는 어떤 성분을 먹느냐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액상과당 위험성
액상과당의 위험성에 신장 결석 유발, 지방간 유발, 통풍 위험 증가 외에도 치매와 암 발병률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이 달콤한 맛으로 과섭취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첫째, 신장 결석 유발
액상과당의 과도한 섭취는 신장 결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액상과당과 신장 결석의 연관성 조사 결과 액상과당을 자주 먹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신장 결석 발생 위험이 23%나 높았습니다. 이는 액상과당의 섭취가 칼슘과 옥살레이트, 요산의 생성을 증가시켜 이 모두가 결합하여 신장 결석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같은 이유로 액상과당은 요로결석을 유발하는 고위험 인자 중 하나입니다. 액상 과당은 과당 음료를 하루 한 잔만 마셔도 권장량을 쉽게 넘어설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둘째, 지방간 유발
액상과당은 체내에서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혈액에 빠르게 흡수됩니다. 흡수된 액상과당은 그대로 간으로 이동하여 지방의 생성을 촉발합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간에 지방량이 점차 늘어나 비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상과당은 혈액 속 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 LDL도 증가시켜 혈관 건강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작용들은 관상동맥 질환과 심장마비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셋째, 통풍 위험 증가
통풍은 요산이 관절 등에 침착해 발생하는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액상과당은 혈중 요산 수치를 과도하게 증가시켜 통풍의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액상과당과 통풍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액상과당의 지속적인 섭취는 통풍 발생 위험을 62%나 높였습니다. 이는 과당이 몸속에 들어오면 대사 과정에서 요산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이고 증가한 요산은 쉽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 퓨린이 풍부한 맥주나 내장 고기 섭취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액상과당의 섭취도 주의해야 합니다.
삼양제넥스 결정과당분말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족냉증 손발 저림 원인과 도움 되는 음식 (0) | 2023.01.11 |
---|---|
혈당 관리에 도움 되는 천연 식품 (0) | 2023.01.09 |
뼈 건강에 도움 되는 상추 섭취 방법과 효능 (1) | 2023.01.05 |
반드시 익혀서 먹어야 하는 음식 (0) | 2023.01.04 |
장 속 노폐물 배출에 좋은 고구마 섭취 방법과 함께 먹으면 좋은 음식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