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휴면계좌 확인할 수 있는 12가지 방법 필수 금융정보

by 스볼컵 2021. 9. 11.
반응형

휴면계좌에 있는 돈을 찾아갈 수 있는 금융서비스가 있습니다. 잠자는 아까운 내 돈을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찾아갈 수 있는 사이트만 모아놓은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입니다. 작은 돈이라도 혹시나 잠자고 있는 내 돈이 있다면 그 작은 돈은 분명히 내 삶에 큰 플러스가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휴면계좌

잠자는 돈

금융감독원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은행의 계좌가 약 47%나 됩니다. 통장이 100개가 있으면 약 47개는 일 년 정도는 거래가 없는 일 년 이상씩 거래가 없는 휴면계좌가 있습니다. 

휴면계좌

금융거래가 장기간 이뤄지지 않아 정지된 계좌를 의미합니다. 소멸시효가 완성됐지만 찾아가지 않은 예금, 보험금 등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안 썼는데 그 안에 돈이 들어가 있는 계좌들을 휴면계좌라 합니다. 

실제로 얼마나 많은 금액들이 휴면계좌에 쌓여 있을까 

2008년~2016년 동안 2천2백억 원 정도가 지급이 되었고 17년에는 350억 정도였고 18년도에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약 1,293억 원 정도가 찾아갔습니다. 19년에도 1,550억 정도가 찾아갔고 2020년 10월 기준으로 했을 때 1,501억 원 정도가 찾아가서 최근 약 13년간 7천억 원 정도가 휴면 예금에서 지급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나중에 한 번 해봐야지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번에 12가지 방법을 통해 휴면 예금도 확인하고 관련된 주식도 확인하고 카드 포인트도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휴면계좌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경우

첫째, 주거래 은행 변동

주거래 은행이 바뀐 경우 

둘째, 자동이체 통장 사용

자동이체 통장을 사용하는 경우

셋째, 급여 통장 변동

이직 등으로 회사 급여 통장이 바뀐 경우

넷째, 다수 통장 사용

통장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

금융정보를 한눈에 금융생활정보를 한 곳에, 즉 금융 정보와 금융소비자들에 관련된 정보를 한 곳에 모아놓은 사이트가 파인입니다.

검색 방법

네이버에서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이라고 검색을 하면 됩니다. 검색을 하면 가장 상단에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클릭하면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홈페이지는 다양한 금융 관련 정보들이 모아져 있습니다. 

잠자는내돈찾기

공통이라는 곳에 잠자는 내 돈 찾기가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총 12가지의 방법이 나옵니다. 12가지 방법에 따라서 12번을 시도하게 되면 혹시나 내가 놓치고 있었던 예금, 보험금, 공제금, 주식 관련 금액, 증권, 추가적으로 과납한 보험료, 포인트, 공과금 중 환급받아야 되는 것인데 아직 안 받은 것들 등등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가지 방법

하나씩 클릭해 보면서 열리게 되는 사이트에서 한 번씩 조회를 해보면 됩니다. 두 번째 줄은 증권이나 주식, 보험 관련된 부분 사이트가 준비되어 있어 하나씩 클릭을 하면서 혹시나 내가 여기서 찾아갈 것이 있는지 체크하면 됩니다. 세 번째 줄 미환급 공과금 사이트에는 공과금뿐만 아니라 통신비에서도 환급받아야 되는 금액이 있다면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준비물

4가지를 준비해 놓고 12가지 사이트를 접속하면 충분히 길지 않은 시간 10~20분 사이로 12개 사이트를 검색해보고 혹시나 모를 내 여유자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째, 공동 인증서 (공인인증서)

각 사이트별로 본인 인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동 인증서를 준비합니다. 

둘째, 휴대폰 (휴대폰 인증 시 필요)

사이트 별로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하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셋째, 은행 및 계좌번호

몇몇 서비스에서는 은행을 인증하라는 경우도 있고 혹시나 내 예금이 남아있는 경우 예금을 어디로 넣어줄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예금이나 보험금 혹은 환급금을 받을 계좌번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넷째, 주민등록번호

몇몇 서비스에서는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